- 그리움에 대하여4-
저물 무렵- 안도현
저물 무렵 그애와 나는 강둑에 앉아서
강물이 사라지는 쪽 하늘 한 귀퉁이를 적시는
노을을 자주 바라보곤 하였습니다
둘 다 말도 없이 꼼짝도 하지 않고 있었지만
그애와 나는 저무는 세상의 한쪽을
우리가 모두 차지한 듯 싶었습니다
얼마나 아늑하고 평화로운 날들이었는지요
오래오래 그렇게 앉아 있다가 보면
양쪽 볼이 까닭도 없이 화끈 달아오를 때도 있었는데
그것이 처음에는 붉은 노을 때문인 줄로 알았습니다
흘러가서는 되돌아오지 않는 물소리가
그애와 내 마음 속에 차곡차곡 쌓이는 동안
그애는 날이 갈수록 부쩍 말수가 줄어드는 것이었고
나는 손 한번 잡아주지 못하는 자신이 안타까웠습니다
다만 손가락으로 먼 산의 어깨를 짚어가며
강물이 적시고 갈 그 고장의 이름을 알려주는 일은
내가 할 수 있는 유일한 자랑이었습니다
강물이 끝나는 곳에 한없이 펼쳐져 있을
여태 한 번도 가보지 못한 큰 바다를
그애와 내가 건너야 할 다리 같은 것으로 여기기 시작한 것은
바로 그때부터였습니다
날마다 어둠도 빨리 왔습니다
그애와 같이 살 수 있는 집이 있다면 하고 생각하며
마을로 돌아오는 길은 늘 어찌나 쓸쓸하고 서럽던지
가시에 찔린 듯 가슴이 따끔거리며 아팠습니다
그러던 어느날 그애와 나는
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입술을 포개었던 날이 있었습니다.
잊을 수가 없습니다 그애의 여린 숨소리를
열 몇 살 열 몇 살 내 나이를 내가 알고 있는 산수공식을
아아 모두 삼켜버릴 것 같은 노을을 보았습니다
저물무렵 그애와 나는 강둑에 앉아 있었습니다
그때 우리가 세상을 물들이던 어린 노을인 줄을
지금 생각하면 아주 조금은 알 것도 같습니다
안도현 시인(詩人)
1961년 경북예천에서 출생.원광대국문과를 졸업.
1981년 대구 매일신문 신춘문예에 시, (낙동강)이 1984년 동아일보
신춘문예에 시, (서울로 가는 전봉준)이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다.
시집 <서울로 가는 전봉준><모닥불><그대에게 가고 싶다><외롭고 높고 쓸쓸한 밤>
<그리운 여우><바닷가 우체국>등을 냈다. 어른을 위한 동화 <연어><관계>사진첩>
<짜장면>과 산문집 <외로울 때는 외로워하자>등이 있다.
1996년 '시와시학'신인상을, 1998년 '소월시문학상'을 수상했다.
자료출처
시:그대에게 가고 싶다, 안도현, 푸른숲 2001년12월
사진: 풍경사진 모음 <photo.com>- E.Vance
배경음악: 마이클호페, Pieces of Moon, 다음음악샵
Posted by 남한강 11.01.2009
'글밭 > 시(詩)를 찾아서[1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저녁 눈 - 박주택시인의 시(詩) (0) | 2009.01.19 |
---|---|
아무르 강가에서 - 박정대시인 (0) | 2009.01.15 |
그리움에 대하여3 - 김영석시인의 그리움 (0) | 2009.01.09 |
나는 바다위를 나는 새-오에 미쓰오(大江滿雄)의 시(詩) (0) | 2009.01.02 |
아버지의 조건 - What Makes a Dad (0) | 2008.11.21 |